[블록미디어] 토큰증권(STO)을 통한 K콘텐츠 글로벌 자본 유치 전략 제시
국내 콘텐츠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중소형 제작사와 창작자들은 자금 확보에 큰 장애물을 마주하고 있으며, 해외 투자 유치도 복잡한 규제와 정책 차이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투자 모델로 토큰증권(STO)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조원선 펀블 CSO는 20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블록미디어 주최 ‘K콘텐츠 투자 활성화를 위한 토큰증권(STO) 활용 방안’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STO를 통해 콘텐츠 제작사들이 해외 투자자의 접근성을 높이면 보다 유연한 투자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콘텐츠 기업들은 정보 및 네트워크 부족, 복잡한 해외 투자 계약 절차, 미흡한 투자 조건 등으로 해외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조 CSO는 “프로젝트 중심의 투자 구조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으며, 특히 프로젝트의 흥행 여부에 따라 투자금이 전액 손실될 위험도 크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TO를 활용한 투자 유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STO를 통해 투자자들은 원하는 콘텐츠 프로젝트에 직접 투자할 수 있으며, 수익은 배당으로 받거나 실시간 거래를 통해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조 CSO는 “법적 요건을 충족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제는 국내 콘텐츠 기업들도 STO를 통해 글로벌 자본을 유치하고 성장할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STO를 활용한 콘텐츠 투자 유치는 기존 투자 방식의 구조적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 이 기사는 2025년 03월 20일, 16:15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