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프로토콜 개발자들이 13일 줌(Zoom)을 통해 ‘All Core Developers Execution(Call #205)’ 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는 퍼블릭 테스트넷 업그레이드 일정과 다음 업그레이드 ‘퓨사카(Fusaka)’의 범위 확정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개발자들은 이더리움 퍼블릭 테스트넷인 홀레스키(Holesky)와 세폴리아(Sepolia)에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를 각각 2월 24일과 3월 5일에 적용하는 일정을 확인했다. 더불어, ‘펙트라’가 메인넷에 적용되기 전 ‘퓨사카’ 업그레이드의 범위를 확정하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게스(Geth) 개발자들은 시간적 촉박함과 ‘EOF’ 포함에 반대했다.
이더리움 재단 파리토쉬 자얀티(Parithosh Jayanthi)는 ‘펙트라’ 개발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하다고 보고했다. 각 클라이언트 팀들은 퍼블릭 테스트넷 업그레이드 준비가 완료됐음을 확인했다. ‘펙트라’ 관련 EIP 작성자들에게 깃허브(GitHub)에서 ‘마지막 호출(last call)’ 단계로 이동할 것도 요청했다.
게스 개발자 마리우스 반 데르 와이든(Marius van der Wijden)은 ‘퓨사카’에 △PeerDAS △FOCIL △EOF △modexp 상한 설정 EIP만 포함하자는 의견을 냈으나, 자얀티는 FOCIL의 준비도가 낮다고 지적했다. 이 외에도 여러 개발자들이 EOF 포함 여부에 대한 의견이 엇갈렸다. EOF는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 표준으로, 관련 논의는 추가 회의에서 이어질 예정이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4일, 15:3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