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맞춤형 관세 정책 도입을 확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관련 각서에 서명했고, 오는 4월 1일부터 자국 제품에 대한 각국의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새로운 관세를 적용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명식에서 미국이 동맹국과 적대국 모두로부터 불공정한 대우를 받아왔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브라질, 인도, EU 등이 미국산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반면 미국은 낮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동차 분야에서 EU가 10%의 관세를, 미국은 2.5%만 부과하는 것을 문제 삼았다.
일부 산업은 이번 조치에서 제외될 전망이다.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은 자동차와 의약품 등 4개 품목이 제외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 유지와 미국 소비자 부담 증가 우려, 의약품의 공급망 안정성과 보건 문제를 고려한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주요 교역국들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인도는 12개 부문의 관세 양보를 검토 중이며, EU도 협상의 의지를 보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미주본부는 이번 정책이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대미 수출 여건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무역 전문가들은 한국의 자동차와 의약품 산업이 면제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고 조언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4일, 10:3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