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5.25~5.50%로 동결하며 연말까지 추가 인상을 시사했다. 향후 금리 예상치를 종합한 올해의 점도표 중간값은 5.6%(5.5~5.75%)를 유지했다.
내년과 오는 2025년 점도표 중간값은 지난 FOMC 대비 50bp(1bp=0.01%포인트) 각각 인상했다. 시장의 예상보다 장기간 긴축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의미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3.50%로 미국과 역대 최대인 2%포인트 차이를 보인다. 연준의 예고대로 11~12월 금리 인상이 단행되면 양국 금리차는 2.25%포인트로 확대된다.
한미 금리차가 커질수록 외국인투자자들의 자금이 유출되고 외환시장 등 금융시장의 불안이 커질 수 있다. 이에 한은 입장에서는 일정 수준 보폭을 맞춰 정책금리를 높일 요인이 커지지만 부동산PF 리스크가 걸림돌 중 하나로 꼽힌다. 대출만기 연장으로 연체율이 올라가는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하면 부실화가 더 가속할 수 있다.
상반기 말 부동산PF 대출잔액은 총 133조1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분기 대비 1조5000억원 더 늘었다. 2020년 말 92조5000억원이던 부동산PF 대출잔액은 2021년말 112조9000억원, 2022년말 130조3000억원, 2023년 3월말 131조6000억원 등으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연체율은 6월말 기준 2.17%이다. 2020년말 0.55%, 2021년말 0.37%이던 부동산PF 연체율은 2022년말 1.19%, 2023년 3월말 2.01% 등으로 급등하고 있다. 업권별로 보면 증권사의 연체율이 6월말 17.28%에 이른다. 2021년말 3.71%에서 2022년말 10.38%로 치솟은 뒤 올해 3월말 15.88%에 이어 빠르게 오르고 있다. 대출잔액이 6월말 기준 5조5000억원 규모다.
저축은행은 6월말 연체율 4.61%, 대출잔액은 10조원으로 집계됐다. 여신전문금융사는 연체율 3.89%, 대출잔액 26조원이다. 보험은 대출잔액이 43조7000억원으로 전 업권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 연체율은 0.73%로 3월말 대비 0.07%포인트 상승했다.
상호금융은 대출잔액이 4조8000억원으로 전 업권에서 가장 작다. 하지만 연체율은 3월말 0.10%에서 6월말 1.12%로 1.03%포인트 뛰었다. 은행은 6월말 대출잔액이 43조1000억원 규모지만 연체율은 0.23% 수준으로 집계됐다. 시장에서는 증권사와 저축은행, 캐피탈 등 2금융권의 부동산PF 대출 부실화 우려가 높아진다.
동영호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캐피탈 산업 전반적으로 조달비용과 대손비용 상승에 따라 수익성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부동산금융 비중이 높은 고(高)부동산 그룹의 조달비용과 대손비용 상승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해당 그룹의 수익성 저하폭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oman@newsis.com
같이 보면 좋은 기사
관련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press@blockmedia.co.kr
▶ 블록미디어 유튜브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blockmedia
▶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바로가기 https://t.me/blockmedia
▶ 블록미디어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blockmedia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