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최창환 선임기자] 비트코인은 대형 악재로 폭락하곤 했다. 중국 당국의 금지조치, 거래소 해킹이나 폐쇄가 과거의 대형 악재였다. 탄생이후 처음으로 겪어본 연준의 긴축정책도 큰 걸림돌이었다.

중국 등 국가의 금지조치, 거래소 해킹 · 폐쇄, 강력한 통화긴축 등 3가지 악재를 만나 4년 주기로 폭락했다. 이런 악재가 나오면 비트코인은 또 폭락할까.

비트코인의 연도별 수익률–소스 컴파운드 캐피탈 어드바이저의 CEO 찰리 빌레로(Charlie Bilello) 트윗

결론부터 얘기하면 이들 3가지 악재는 앞으로 나오기도 쉽지 않고, 나오더라도 비트코인 가격에 커다란 영향을 주지 못할 전망이다.

비트코인이 이들 악재에 대해 내성을 가졌고 정책당국의 압박도 별다른 효과를 발휘하기 힘든 상황이 됐다. 하나씩 이유를 살펴보자.

# 중국 등 정부의 금지정책

비트코인은 연간 기준으로 4년마다 폭락했다. 2014년, 2018년, 2022년이 그랬다. 연간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도 3년 뿐이다.(위 도표)

반감기 2년 뒤란 시점과 외부 악재가 겹쳤다는 공통점이 있다. 2014년과 2018년에는 중국 당국의 금지조치가 있었다. 중국은 뻑하면 비트코인 금지정책을 발표한다. 2018년에는 한국 법무부의 거래소 폐쇄 검토 발표도 함께 있었다.

이제 중국의 금지조치는 더 이상 악재가 아니다. 중국 중앙 정부가 비트코인 채굴과 거래를 금지했지만 여전히 중국의 채굴능력은 세계 2위다. 비트코인 거래도 활발하다. 아래 자료는 지난해 1월 기준 각국의 채굴능력이다. 2021년 금지조치로 큰 폭으로 줄었지만 중국이 아직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당시 중국의 채굴 금지는 비트코인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공포를 불러일으켰지만 비트코인은 이겨내고 살아남았다. 중국의 탄압으로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전세계에 골고루 분산됐다. 비트코인이 강해진 셈이다.

캐임브리지 대안 금융 센터 자료 갈무리

중국이 비트코인을 금지한다는 것은 이제 뉴스도 아니다. 도리어 중국은 홍콩을 통해 비트코인을 수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비트코인에 악재가 아닌 호재로 작용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중국 뿐 아니라 어떤 국가가 비트코인을 금지한다해도 비트코인 커뮤니티는 놀라지 않고 콧방귀를 뀐다. 비트코인은 개인키만 알면 세계 어디서나 언제나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누구나 잘 알고 있다. 개인지갑과 라이트닝 기술 등 개인주권을 지키며 비트코인을 쉽게 사용하게 도와주는 기술도 크게 발전하고 있다.

미국이 금지하는 것을 걱정하는 사람들도 많다. 달러 기축통화를 지키기 위해 뭔가 행동할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미국은 개인의 자유와 혁신을 바탕으로 강대국이 된 나라다. 정부가 일방적으로 개인의 선택을 금지하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다. 비트코인 지지 세력도 막강하다. 의회가 용납하지 않는다. 각 주의 자율적 선택권도 있어 연방정부가 일방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 거래소 해킹이나 폐쇄조치

2014년 폭락은 전세계 거래량의 70%를 차지하던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 마운트곡스가 해킹을 당했기 때문이다. 1000달러를 돌파했던 비트코인은 100달러 수준으로 폭락했다.

거래소가 해킹 당했다는 뉴스가 나오면 비트코인은 폭락했다. 비트코인은 해킹 당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해킹을 당했다고 불안해 했다. 당시 사람들은 중앙화 거래소의 해킹과 비트코인 자체의 해킹을 구별하지 못했다.

또 비트코인을 실제 사용하기 보다는 투자목적으로 거래소에 맡기고 이용했기 때문에 거래소 해킹은 투자자들에게는 쇼킹한 뉴스다. 지난해 FTX 거래소의 파산도 거래소에 비트코인을 맡긴 투자자들의 손실로 이어졌다. 때문에 거래소 해킹이나 파산 등은 악재로 작용했다.

그러나 이런 사건들을 겪으면서 비트코인의 자체 보유(개인 지갑)가 확산하고 있다.(Self Custody 셀프 커스터디) FTX 폐쇄 이후 늘어났던 개인 지갑은 실리콘밸리은행(SVB) 폐쇄 이후 더욱 늘어났다. 글래스노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일 SVB 사태 이후 일주일간 약 7만 개의 비트코인이 셀프 커스터디를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앙화한 암호화폐 거래소와 은행들의 폐쇄로 비트코인을 스스로 보관하면 안전하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고 있다.

셀프 커스터디는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목적이 매매를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투자에서 자산가치를 보전하려는 저축으로 변화하는 추세와 맞물려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아프리카와 남미 등 개도국들은 비트코인을 저축과 송금 등 실생활에 사용하고 있다. 거래소에서 발생하는 사건이 비트코인에 미치는 영향은 갈수록 줄어들 전망이다.

# 연준 등 중앙은행의 긴축정책

2022년에는 루나 사태, FTX 파산, 연준의 긴축 정책이라는 악재가 겹쳤다. 특히 긴축정책은 비트코인 탄생 이후 처음으로 나타난 악재였다.

연준의 긴축정책은 다른 나라의 긴축정책으로 이어졌다. 비트코인은 처음 경험하는 상황이었다.

비트코인은 중앙은행의 방만한 통화정책과 달리 2100만 개로 한정된 발행량으로 인플레이션을 대비한 안전자산이라는 논리로 성장해 왔다. 그러나 연준이 금리를 올리자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수요가 줄어들면서 가격이 폭락했다. 6만9000 달러 선에서 고점을 찍고 지난해 11월 1만6000 달러 수준까지 떨어졌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연준의 긴축정책으로 가격이 폭락하자 안전 자산이 아닌 변동성이 큰 위험 자산이란 인식도 나왔다.

최근 들어 상황이 완전히 반전됐다. 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이 촉발한 은행 위기로 달러 기반 시스템이 극도로 취약하다는 사실이 드러났기 대문이다.

돈풀기와 금리조절을 통한 통화환수 등의 매커니즘은 외국에 대한 양털깎기 효과가 있다. 급기야 미국도 견디기 힘들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뱅크런이 없고 배신하지 않는 비트코인의 장점이 부각됐다. 연준이 비트코인의 최대 광고주라는 얘기도 나온다.

긴축은 일시적인 효과일 뿐 근본적으로 끊임없는 통화팽창만이 시스템을 유지해 준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인식하기 시작했다. 연준은 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돈을 풀 수 밖에 없다. 단기적으로도 연준은 비트코인에 더 이상 위협을 줄 수 없다는 사실이 드러난 셈이다.

이같은 악재들이 비트코인에 더 이상 치명적인 악재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비트코인이 자체 역량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비트코인은 스스로 보유하고 개인간 거래를 할 수 있는 빼앗기지 않는 가치저장 수단으로써의 위치를 다지고 있다.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위대한 디커플링’ 비트코인에는 뱅크런이 없다–자산 · 은행을 넘어 금융시스템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