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위메이드 위믹스가 상장 폐지냐, 유의종목 해제냐를 결정 받는 날이 17일로 다가왔습니다. 위믹스 상폐 여부에서 핵심 쟁점이 되는 사항을 세 가지로 정리했습니다.

지난 13일 오후 3시 39분 게재한 위믹스, 유의종목 해제 or 상폐를 결정할 3가지 논점(ft. 쟁글) 기사를 다시 송고합니다.

위믹스, 유의종목 해제 or 상폐를 결정할 3가지 논점(ft. 쟁글)

[블록미디어 James Jung 기자] DAXA는 17일까지 위메이드 위믹스에 대한 유의종목 해제 또는 상장 폐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위믹스는 유통물량 계획서와 다르게 코인을 매각했다. DAXA는 위믹스를 유의종목으로 지정됐다. 위믹스는 DAXA 기준(?)에 맞춰 유통물량 계산을 다시 함으로써 해명을 마무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제 공은 DAXA로 넘어왔다. DAXA 소속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는 대외적으로 ‘기준’을 제시한 전례가 없다.

만약 위믹스가 유의종목에서 해제된다면 해당 기준이 무엇인지 논리적인 설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설명 없이 위믹스가 유의종목에서 풀려나온다면 DAXA 자신이 공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위믹스 커뮤니티 일각에서는 “유통물량을 주기적으로 공시하지 않는 프로젝트들도 많은데 왜 위믹스만 차별(?)하느냐”는 불만도 있다. 기준이 명확하면 이런 논란도 없어진다.

# 논점 1

디파이 예치 물량을 유통량에 포함하느냐다. 이 논란은 사실 위믹스가 “잘못 이해한 것”이라고 장현국 대표 입으로 해명했기 때문에 ‘물량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론이 난 셈이다.

문제는 노드 밸리데이터 물량이다. 유의종목 지정 이후에 불거진 검증자 스테이킹 물량과 연이율 20%가 넘는 이자로 지급되는 위믹스가 유통물량에 제대로 기입 됐는지가 문제다.

위메이드 측은 블록미디어의 검증자 물량 및 이자에 대한 유통물량 산입에 대해 “검토 중”이라는 모호한 답변을 했다.

위메이드가 DAXA에도 그러한 모호한 답을 하지는 않았다는 전제하에 DAXA가 이에 대한 설명을 내놔야 하는 상황이다. 숙제는 위믹스가 했지만 숙제 검사를 한 DAXA가 욕을 먹을 수 있다.

# 논점 2

FTX-알라메다 사태에서 보듯이 “자기가 만든 코인을 이용한 담보대출(레버리지)과 이를 이용한 생태계 확장”을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문제다.

위메이드 위믹스는 위믹스 코인을 담보로 디파이 론을 일으켜 위믹스달러를 발행했다. 논란이 되자 해당 론을 상환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향후에도 이런 일이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없다.

지난 10월 25일자 쟁글 리서치 보고서는 위믹스달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위믹스달러를 도입한 이유는 게임 토큰 거래에서 주로 이용되는 위믹스 토큰 가격이 일정하게 페깅(pegging)되어 있지 않아 게임 토큰의 실제 가격을 쉽게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위믹스가 자체 스테이블 코인 출시를 통해 위믹스 토큰 가치가 위믹스달러에 기반한 생태계 가치에 연동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위믹스 게임 생태계가 커지면 위믹스달러를 더 발행하려는 유혹(?)도 커진다. 위메이드가 하드 캐쉬(법정 화폐 달러 등)를 넣어 위믹스달러를 발행하지 않는 한 재단이 들고 있는 위믹스를 활용하려고 다시 시도할 것이다.

DAXA가 향후에 발행될 위믹스달러 발행 규모와 이때 소요될 위믹스 코인에 대해 제대로 된 소명을 들었는지가 관건이다.

자기가 발행한 코인을 레버리지로 생태계를 증식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는 FTX가 잘 보여주고 있다. DAXA가 이 문제를 간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논점 3

위믹스 커뮤니티 일각에서 나오는 ‘대마불사’ 논리다. “위믹스를 상폐했을 때 올 시장 충격을 거래소들이 감히 감당할 수 있을까”라는 주장이다.

위메이드 위믹스가 DAXA 소속 거래소들(고팍스 제외)의 인기 상품인 것은 분명하다. 위믹스를 상폐하면 투자자들과 위메이드로부터 법률 소송이 들어올 가능성도 있다.

이 모든 골치 아픈 일이 예견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DAXA가 위믹스를 유의종목으로 지정한 배경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명분 없이 유의종목을 해제하면 역풍을 맞는 것은 DAXA다. FTX-알라메다 사례처럼 ‘자기 증식’을 방관했다가 더 큰 혼란이 오면 책임을 뒤집어 쓰는 것은 거래소들이다. ‘대마불사’는 유의종목 해제를 위한 명분이 아니라 위험요소다.

쟁글 리포트를 보자.

“메인넷 운영은 생각보다 쉽지 않을 수도 있다.(위믹스3.0은 이더리움을 하드포크해 만들었다. 위메이드가 100% 독자 개발한 메인넷이 아니다. 하드포크는 상대적으로 쉽다. 블록미디어 편집자 주)

이 모든 것을 위메이드가 구축하는 것은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어려운 일일 수 있다.

이제 P2E 기능을 붙인 것만으로 흥행하던 시절은 끝났다. 미르 4 글로벌을 제외하고는 모든 게임의 유저 수가 매우 낮기 때문에 완성도 있는 게임을 통한 유저 온보딩이 필요한 상황이다.”

유통물량 공시조차 투명하지 않은 프로젝트를 DAXA가 용인했다가, 진짜 해야 할 일마저 못해서 ‘대마필사’ 사고가 나면 그 책임은 온전히 거래소 몫이 될 위험이 있다.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위믹스, 유의종목 연장에 급락…DAXA ”프로젝트 소명 검토 중”

위믹스, 검증자 스테이킹 유통량 다시 논란…파산한 블록워터 관련자 참여 의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