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비트코인이 에너지를 과소비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어요. 그렇지 않다는 반론도 있지만 거래를 하고 블록을 만들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쓰는 것은 사실이예요.

블록체인은 거래를 블록에 기록하고 체인을 만들어 계속 연결하죠. 마지막 블록을 조작하려면 체인을 따라가 처음 블록부터 다 고쳐야 하기 때문에 헤킹이나 조작이 불가능해요. 은행같은 중앙신뢰기구가 없어도 개인간 거래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죠.

블록이 정당한 지 검증할 때도 처음부터 다 검증해야 해요. 검증은 연산능력이 많으면 돼요. 열심히 계산해 거래가 정당하다는 사실을 증명하면 새로운 블록을 만들 수 있고 대가로 비트코인이 지불돼요. 마치 금광에서 광부들이 금을 캐는 것과 유사하다고 해서 채굴(mining)이라고 해요. 이같은 방식을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이라고 해요.

곡괭이와 폭약을 가진 광부대신, 수 많은 컴퓨터로 연산능력을 강화한 마이닝 업체들이 비트코인을 채굴하고 있어요. 채굴 경쟁에서 승리하려면 더 많은 컴퓨팅 파워를 가져야 해요. 전기 소모량은 마이닝 업체들의 경쟁으로 인해 상승하게 돼요.

작업증명에 대한 대안이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방식예요. 작업증명은 컴퓨터만 많으면 마이닝에 참여할 수 있어요. 지분증명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쓰는 코인을 가지고 있어야 해요.

예컨데 이더리움 2.0에서 노드가 되려면 이더를 예치해야 해요. 거래가 정당한지 투표할 수 있는 검증자(validator)역할을 할 수 있어요. 검증자를 노드라고 해요. 소유한 지분을 예치하고, 검증할 컴퓨팅 파워까지 제공해야 댓가로 코인을 받을 수 있어요.

코인을 소유한 검증자만이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이닝 경쟁은 없어지죠. 수많은 컴퓨터를 동원해 코인을 차지하려는 경쟁이 사라져요. 때문에 에너지 과소비는 줄어들게 돼요.

일론 머스크, 빌 게이츠 등이 비트코인을 에너지를 많이 소비한다고 디스한 이유가 바로 작업증명때문이죠. 많은 코인들이 작업증명대신 지분증명 방식을 채택했어요. 이오스, 퀀텀, 에이다 등은 다양한 방식의 지분증명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요. 이더리움도 이더리움 2.0으로 진화하면서 작업증명 방식에서 지분증명으로 바꾸고 있죠.

작업증명 대신 지분증명을 채택한 이유는 전기 과소비 때문만은 아니예요. 속도가 중요한 이유예요. 작업증명 방식은 모든 것을 처음부터 다시 계산하다 보니 블록체인의 속도가 더뎌서 실제 생활에 활용하기 어려워요.

또 비트코인의 분산정신을 손상시킬 수 있어요. 돈이 많은 대규모 기업들이 노드를 장악하는 경우죠. 블록체인은 노드들이 합의해 정당한 거래를 증명하죠. 노드(검증자)의 51%가 정당하다고 인정해야 블록이 생성돼요. 거대 자본이 담합해 연산 능력의 51%를 장악하면 엉뚱한 블록을 정당하다고 결정하고 자신들의 뜻대로 조작할 수 있어요. 51%의 연산력을 장악하는 것이 코인 51%를 장악하는 것보다 훨씬 쉬워요. 돈이 덜 들어요.

지분증명 방식은 전력을 절약하는 한편, 블록체인의 속도도 늘리고 일부 거대 업체의 네트워크 장악을 막는데 유리해요.

단점도 있어요. 자신의 지분을 활용하기도 하지만 투표를 통해 위임받은 지분으로 참여하기도 해요. 투표때 가까운 업체끼리 담합할 경우 탈중앙화정신을 약화시킬 수 있어요. 부익부 빈익빈 가능성도 생겨요. 참여를 통한 보상이 소유한 코인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죠.

이더리움 2.0은 속도도 높이고 탈중앙화도 달성하기 위해 지분증명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예치하는 이더의 갯수를 32개로 제한했어요. 더 널리 분산시키고 다수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서죠.

크립토 기후 협약 ‘(Crypto Climate Accord)’ 홈페이지예요. 리플 컨센시스 등이 가입했어요.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에 크립토 산업도 예외는 아니죠. 크립토 기후 협약은 2040년까지 암호화폐 산업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많은 크립토 기업들이 탈중앙정신을 지키면서 블록체인의 속도도 개선하기 위해 지분증명을 채택하고 있어요. 비트코인재단과 채굴업자들이 탄소배출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지 지켜볼 필요가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