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신지은 기자] 중국 당국의 암호화폐 거래 금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OTC 시장을 중심으로 거래가 급증하고 있다. 중국의 막대한 경기부양 정책까지 겹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주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 中, 위안화 사용 금지에 테더 거래량 급증

Chainalysis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내에서 스테이블 코인 테더로 비트코인을 구매하는 비율이 10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Chainalysis는 중국 내 비트코인 현물 거래의 99%가 테더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이나 한국은 여전히 법정화폐를 통한 거래 비중이 훨씬 많다. 중국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한 것이 테더 거래량 급증의 원인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출처: Chainalysis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비트코인 온체인 거래의 40%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이뤄진다. 2019년 첫 반기에는 35%였다. 옵션선물거래에서도 아태 지역은 두각을 나타낸다. 전 세계적으로 23억 6000만 달러에 달하는 비트코인 옵션선물거래의 90%도 이 지역에서 이뤄진다. 거래가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는만큼 중국 내에서 테더 거래가 활발하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필립 그래드웰 Chainalysis 수석 경제학자는 “OTC 브로커들로부터 나오는 유동성이 상당할 것”이라면서 “이러한 추세는 아주 빨리 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돈 풀기 나선 중국 정부, 암호화폐 시장 ‘낙수효과’ 볼까

15일 중국 인민은행은 9월 은행권 위안화 신규대출이 1조6900억 위안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전 달의 1조2100억 위안을 웃도는 수치다. 지급준비율도 인하 추세다. 중국 당국은 2018년중 네 차례의 지준율 인하를 통해 총 2.5%p를 인하했다. 2019년 1월에도 두 차례에 걸쳐 1%p를 내렸다. 2015년 위안화 약세와 주가 하락에 대응해 인하했던 규모를 상회하는 수치다. 지급준비율이란 금융기관이 예금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의무적으로 중앙은행에 예치하는 비율이다. 통화정책 주요 수단으로 꼽힌다. 금융기관의 지급준비율이 적을수록 기업 및 고객 대출이 늘어 통화 팽창 효과는 커진다.

 

출처: 한국은행

 

한국은행 북경사무소는 지난해 중국 경제가 1990년(3.9%) 이후 최저수준인 6.6%의 실질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경제성장 하방압력이 증가한 것을 ‘돈 풀기’의 원인으로 꼽았다. 미・중 무역분쟁 심화 등이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자구책인 것이다.

비트코이니스트는 16일(현지시간) “중앙은행의 돈 풀기는 암호화폐에 또 다른 활력소가 될 수 있다”면서 “시중에 돈이 풀리면 일부가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들어 법정화폐 거래가 회복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지난 9일 장펑 자오 바이낸스 CEO는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가 알리페이와 위챗을 통해 법정화폐를 받는다는 소식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알리페이와 위챗은 이 발언을 즉각 부인하고 나섰다. 비트코이니스트는 “이 앱들을 통해 실제 법정화폐로 암호화폐 구입을 할 수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알리페이와 위챗은 중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결제 수단이다. 다만 중국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에 대해 엄격한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법정화폐 거래가 정말 가능할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