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진배 기자] 은행에 자신의 계좌를 개설하고 돈을 맡길 경우, 계좌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나’ 임을 입증하면 됐다. 비밀번호 입력 방식이나 공인인증, 생체인증 등이 여기 속한다. 이 방식은 은행이 관리의 주도권을 갖는 중앙 관리 시스템이다. 반면 블록체인은 탈중앙화 방식으로 개인이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싶은 지갑을 이용해야 한다.

물론 거래소에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방식도 있다. 거래소의 경우, 거래소가 지갑을 관리하는 중앙방식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해킹이나 피싱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반면 개인 암호화폐 지갑의 경우 서비스를 해주는 사업자는 있지만 해당 사업자는 지갑을 제공할 뿐 이용에 필요한 정보 외에는 어떠한 정보도 요구하지 않는다. 즉, 해당 지갑에 접근할 수 있는 키(Key)는 개인이 관리해야 한다.

블록체인이 발전하고 암호화폐의 쓰임이 구체화됨에 따라 프라이빗 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디앱이 나오면 그와 연동되는 지갑을 사용해야 하고 자연스럽게 프라이빗 키도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 프라이빗 키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생소한 개념이다.

프라이빗 키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암호화폐 지갑에서 타인의 지갑으로 송금할 때 쓰인다. 즉 금고의 문을 여는 열쇠다. 암호화폐 송금을 위해서는 송금 데이터를 프라이빗 키를 이용해 암호화하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를 전자서명이라 부른다. 이 전자서명을 원본 데이터와 함께 송금하면, 수신자는 공개키를 이용해 해당 데이터의 암호를 해제하고 위변조 여부를 알 수 있다. 일반적인 암호화폐 지갑에서는 프라이빗 키가 없는 경우 전자서명이 불가능하므로 송금도 불가능하다. 이 경우 해당 암호화폐가 지갑 속에서 영영 잠들어 버릴 수 있어, 프라이빗 키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프라이빗 키와 관련한 문제는 이용자들이 이를 분실하였을 때 생겨난다. 프라이빗 키를 한 번 분실하면 되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프라이빗 키 분실로 인한 에피소드는 심심치 않게 나온다. 올해 초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쿼드리가씨엑스의 CEO가 사망하면서 고객의 암호화폐를 보관한 지갑의 프라이빗 키도 함께 사라져 고객분 2000억 상당의 암호화폐가 발이 묶인 사건,운영진이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지갑의 프라이빗 키를 실수로 삭제해 22억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다며 파산을 선언한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빈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개인이 키를 관리하는 블록체인에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자 프라이빗 키를 중앙방식으로 관리하는 지갑들도 생겨났다.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잡겠다는 의도로 비트베리, 페이프로토콜 월렛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해당 지갑들은 암호화폐를 보관하지만 개인이 복잡한 프라이빗 키를 보관 및 사용할 필요 없이 전화번호 및 간편 주소로 송금할 수 있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 press@blockmedia.co.kr

▶블록미디어 유튜브: http://bitly.kr/9VH08l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http://bitly.kr/0jeN